4~5세기 브리튼 주둔 로마군 편제
5세기 초 로마제국의 군부대 배치 관련 행정서적 '노티티아 디그니타룸'의 영어 번역본을 중역해서 적은 글이나, 역자의 헤으응한 영어실력으로 틀린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감안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적과 오류수정은 환영합니다.
반박시 대부분 너님이 옳을확률이 높습니다.
코메스 브리타니아룸+코메스 리토리스 색소니키 퍼 브리타니아스 소속(기동야전군)

코메스는 훗날 유럽의 백작(count)의 어원이 되지만 이 시기엔 관구의 야전군사령관 직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하게도 세습직이 아닌 임명직이며 관구장(Vicarius)과 총독(consul)등이 담당하는 문관직과는 겹치지 않습니다.
코메스 브리타니아룸은 '브리타니아군 야전사령관', 코메스 리토리스 색소니키 퍼 브리타니아스는 '브리타니아와 색슨해변의 야전사령관'으로 둘은 자주 혼용됨
보조 팔라티나

아틸라 토탈워 최강 모루중 하나인 코르누티 세니오레스와 준수한 창병 동보팔, 서보팔, 모루쪼개는 모루 정팔이 얘내입니다.
부대당 약 500명,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창설한 최정예 보조군 보병대이며, 황제의 명에 따라 주요 요충지에 파병됩니다.
1.빅토레스 유니오레스
이하 갈리아/라인쪽에서 황제가 보낸 유사시 최정예 지원병
2. 바타비 세니오레스(바타비아족 게르만 근위대)
3. 헤룰리 세니오레스(헤룰리족 게르만 근위대)
4. 이오비 유니소레스
코미타텐세스 군단

기동 야전군입니다. 아틸라 토탈워 하면 꽤 쓸만한 창병대, 검병대, 레기오등으로 니오는 부대가 얘내입니다. 부대당 최대 2000~3000명 편제 추정
1. 세쿤다 브리타니카
2. 프리마니 유니오레스(옛 플라비아 빅트릭스 군단일 것으로 추정)
기병 벡실라티오

코미타텐세스와 함께 활동하는 정예 기병 분견대. 부대당 최대 4~500기의 기병으로 이뤄져있읍니다.
게르만 팩션의(왜 게임선 게르만으로 나오는지 1도 모르겠음) 타이팔리 기병대, 로마의 카타프락티, 창기병대 등등이 얘내입니다.
1. 에퀴테스 카타프락티 유니오레스
(얘내랑 이름 같은 부대가 전 제국에 대충 십수개가 넘음)
2. 에퀴테스 스쿠타리 아우렐리키
3. 에퀴테스 호노라이 세니오레스
4. 에퀴테스 스타볼라세니
(이새끼들과 같은이름인 부대가 전 제국에 20개가 넘음)
5. 에퀴테스 시리(시리아 출신인듯)
6. 에퀴테스 타이팔리(타이팔리족 외인부대)
코미타텐세스+가용가능 기동전력 최대 1만~1만 2천정도로 예상 가능
둑스 브리타니아룸 소속

4~5세기 당시 브리타니아 관구는 4개 속주로 나뉘었는데, 이 네 속주의 지방군을 총괄하는 사령관이 둑스.
일정 정도 행정업무도 보았을듯 하며, 동로마에선 '군정총독'쯤이 되며, 서유럽에선 '공작'령에 대응하는 단위
리미타네이 군단

아틸라 토탈워 동서롬하면 가장 처음 주는 걸레짝 보병대 그거 맞습니다.
이시기엔 도대체 부대당 몇명이었는지 알수있는 명확한 기준이 없을정도로 각지에 찢겨져있었지만 대충 현재의 대대급 이상정도는 되었을겁니다.
의외로 정예도도 그렇게까지 낮진 않았습니다.
1. 6군단 (아마 공화정기 6군단 빅트릭스 잔여병력)
2. 누메루스 바르카리움 티그리시엔시움(누메루스란 뜻은 벽~숫자 등으로 아마 하드리아누스 장성 배치부대였을것)
3. 누메루스 네르비오룸 딕텐시움
4. 누메루스 비질룸
5. 누메루스 익스플로라토룸
6. 누메루스 디렉토룸
7. 누메루스 디펜소룸
8. 누메루스 솔렌시움
9. 누메루스 파켄시움
10. 누메루스 롱고비카누룸
(롱고바르드계 부대인거같은데 몰?루?)
11. 누메루스 페트루엔시움
12. 누메루스 마우로룸 아우렐리아노룸
13. 제 2 링고눔 대대(이하 코호트 대대)
14. 제 4 링고눔 대대
15. 제 1 코르노비오룸 대대
16. 제 1 아스트룸 대대
17. 제 1 알라(반편 대대or기병대) 아스트룸
18. 제 2 알라 아스트룸
19. 제 1 프릭사고룸 대대
20. 알라 사비니아나(로마 본토출신인듯)
21. 제 1 바타보룸 대대(네덜란드쪽인듯)
22. 제 1 퉁구노룸 대대
23. 제 4 갈로룸 대대(갈리아출신인듯)
24. 제 2 달마타룸 대대(달마티아계인듯)
25. 제 1 아일리아 다코룸 대대(다키아계인듯)
26. 제 1 히스파노룸 대대(스페인서 모집한듯)
27. 제 2 트라코룸 대대(트라키아서 모집한듯)
28. 제 1 아일리아 클라시카에 대대(아마 해병대, '클라시카에'가 함대라는 뜻)
29. 제 3 네르비오룸 대대
30. 제 6 네르비오룸 대대
31. 알라 패트리아나
32. 제 1 알라 헤르쿨레아
리미타네이 기병 백실라티오

위 코미타텐세스 쪽과 같은 기병대인데 게임상에선 에퀴테스 달마타이~카타프락티~킹카웃 갓퀴테스가 얘내라고 보면됨다.
부대마다 숙련도 차이가 컸을듯합니다.
1. 쿠네우스 사르마타룸
(사르마티아계 기병대)
2. 에퀴테스 달마타에
(달마티아계 기병대)
3. 에퀴테스 크리스피아니
4. 에퀴테스 카타프락티 몰비오(위 코미타텐세스쪽 카타프락티와는 주둔지 다름)
편제상 리미타네이+지방군+해병대 최대 약 1만~2만 1000명가량으로 추산

(대충 서양 사서들도 이정도로 판단하는듯)
이친구들이랑 싸웠던 당시 적들
(대부분 4세기 중엽에 같이 쳐들어왔음)

픽트+게일+스코트+북브리튼 켈트계 부족 연합
얘내 원래 지들끼리도 사이안좋은데 일단 로마랑 싸울때는 똘똘 뭉침요.

앵글족+색슨족+주트족 등 게르만 부족연합
특히 색슨족은 하도 ㅈ같이 굴어서 현재의 칼레 해협 인근을 '색슨 해안'이라고 부르고 투석기를 도배해놓음. 아직도 로마인들이 세운 투석기 해안포대가 계속 발굴됨미다ㅋㅋㅋ

그리고 마지막으로 브리튼 출신 '황제 호소인'들..
픽트족 막을병력은 없으면서 반란일으킬 병력은 있는 수많은 황제호소인들이 브리튼 속주를 기반으로 내전 민속놀이를 돌렸답미다...
끝...!